Home정보운전면허 적성검사 갱신 온라인 준비물 기간 과태료 상세 설명서

운전면허 적성검사 갱신 온라인 준비물 기간 과태료 상세 설명서

이번에는 운전면허 적성검사 갱신 온라인 준비물 기간 과태료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운전면허를 획득하신 분들은 어느 정도 기간이 흐르고 난뒤에 갱신기간이 있다라는걸 모르시는 분들이 꽤나 계시는데요.

운전면허 적성검사 갱신
운전면허 적성검사 갱신

사실상 갱신을 해야 된다는 문자가 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문자가 오면 무시하지 말고 꼭 갱신을 진행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이걸 어떻게 해야하는건지? 아래에서 확인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운전면허 적성검사 갱신

운전면허는 적성검사 할때가 되면 운전면허 시험장으로 가서 간단한 신체검사 이후에 통과 됩니다. 그리고 새로운 운전면허증을 발급 받게 됩니다.

여기서 예외인 상황이 있는데요. 2년이내에 국가 건강검진 기록이 있을 경우에는 오프라인 방문을 할 필요가 없이 온라인으로 적성검사를 받을 수가 있습니다.

운전면허 적성검사 온라인 갱신 방법

운전면허 적성검사는 온라인으로 사이트에 방문하여 신청를 다 하는것이라고 보시면됩니다. 해당 사이트는 아래에서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운전면허 적성검사 사이트 바로가기

  1. 안전운전 통합 민원 사이트 방문
  2. 실명인증
  3. 운전면허증 발급(모바일)
  4. 1종 보통 적성검사 메뉴 클릭
  5. 자기신고서 작성
  6. 건강검진진료 조회결과
  7. 사진등록(기존 증명 사진이 아니라 최근 사진으로 해야됨)
  8. 수령방법 선택(운전면허 시험장 또는 경찰서)
  9. 연락처 등록
  10. 수수료 결제
  11. 본인이 수령을 지정한 장소로 방문하여 기존 명허증 반납하고 난뒤에 갱신된 운전면허증 수령

따지고 보면 온라인이라고 해도 결국에는 본인이 직접 가서 받아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애초에 그냥 가서 처리하는게 더 나을수도 있지만 시간이 급하신분들은 온라인으로 미리 사전에 갱신 작업을 다하고 난뒤에 수령만 하면 되도록 하는것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운전면허 적성검사 준비물

  • 증명사진
  • 운전면허 발급 수수료 16000원
  • 적성 검사비 7000원

운전면허 갱신 대상

  1. 2종 운전면허 소지자 중 70세 이상
  2. 1종 운전면허 소지자

갱신 기간

기봬적으로 갱신은 10년에 1번씩 해야 된다고 보시면 되고 2011년 12월 8일 이전에 취득한 사람들은 7년 주기로 갱신기간이 돌아온다고 보시면 됩니다.

과태료

과태료의 경우에는 2만원이 발생하게 됩니다. 사실상 문자가 왔을 경우에 거기에 언제까지 적성검사를 받아라는 말들이 있습니다. 그렇기 떄문에 그걸 참고해서 꼭 그 기간안에 진행을 해야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기간이 지나면 과태료를 내야 하며 만약에 과태료 미납하게 되면 최대 77% 추가 가산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꼭 해당 기간안에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기타

운전명허증은 주민등록증과 동일하게 개인 정보가 들어가 있으며 주소와 과거 주소변동까지 모두 포함이 되어져 있어서 개인정보호에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왜 이렇게 상세하게 적혀져 있냐고 논란들이 벌어지고 했었습니다. 단순히 여권만 보더라도 주소, 개인의 출신지역, 민증번호 등 같은 건 전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너무 상세하게 나와있다라는게 문제가 되는데요. 이게 가만히 있을때는 상관없지만 분실하게 될 경우에 문제가 많은겁니다. 그래서 모바일 운전면허증이라는게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만약에 분실이 우려 되시는분들은 모바일로 발급 받는걸 추천드립니다.

이상으로 운전면허 적성검사 갱신 온라인 준비물 기간 과태료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이만 포스팅을 마칩니다.